Research Project
U-RECA는 학회원들의 연구 역량 증진을 위해
매년 개인 또는 팀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U-RECA conducts individual or team research projects every year
to improve the research capabilities of U-RECA members.
2023
여름철 캄차카 블로킹과 동아시아 지역 기온의 상관관계 분석 및
한반도 기온 예측
Correlation between the Kamchatka Blocking and Temperature Patterns in East Asia During Boreal Summer and Prediction of the temperature for the Korean Peninsula
U-RECA 6th | 민황선 조선아 김지은 오다현 이다영
본 연구에서는 1980년부터 2020년까지 북반구 여름철 캄차카 블로킹의 특성과 블로킹이 동아시아 지역 환경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블로킹 지수를 적용하여 한반도의 기온을 예측하였다. 캄차카 블로킹은 경년변동성의 특징을 지니며 여름철 일별 평균 5%의 빈도를 보이고, 유럽 상공 블로킹 다음으로 전 지구 동일 위도 상에서 블로킹의 발생 빈도가 높다. 월별 500hPa EOF 분석 결과의 첫 번째 모드는 캄차카 블로킹과 유의한 상관성을 지닌다. 합성장 분석으로부터, 캄차카 반도의 서쪽에서 깊은 기압골이 발달하여 상층 블로킹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바람의 상층 발산과 하층 수렴 현상에 의해 강수율의 증가와 해면수온 및 2m 기온의 감소가 나타났다. 회귀분석과 상관분석을 통해 캄차카 블로킹과 2m 기온, 강수율의 통계적인 음과 양의 상관성을 각각 확인하였다. 선형모델과 부스팅, 트리모델 모두에서 KCBF 지수를 포함할 경우 예측 성능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검증 기간 중 블로킹이 자주 발생한 연도의 예측에 KCBF 지수를 포함할 경우 예측 성능이 가장 크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 캄차카 블로킹의 특성 및 발달 환경 분석에 대한 연구에서 더 나아가, 머신러닝을 사용한 한반도 기온 예측 과정에서 캄차카 블로킹 지수의 실효성을 보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2022
남한 지역 낙뢰 예보에서의
GK-2A 불안정지수 정확도 검증
Assessment of Instability Index from
GK-2A in Lightning Forecasts over
South Korea
U-RECA 5th | 신지수 김진영 이진 조선아
낙뢰는 중규모 대류계의 뇌우를 동반하여 위험기상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 현상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불안정지수를 사용하여 낙뢰를 정확하게 예보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주로 고층기상관측을 사용한 연구에 국한되며, 기상위성을 활용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낙뢰 예보에 있어 천리안위성 2A호(GK-2A)으로 산출된 불안정지수가 고층기상관측으로 산출된 불안정지수를 대체 가능한지를 상관관계 분석과 예측성 평가 방법으로 검증하였다. 불안정지수는 KI, SSI, CAPE를 대상으로 한다. 분석 결과, KI, SSI는 GK-2A와 고층기상관측자료 간 상관성이 높아 GK-2A가 고층기상관측 자료를 대체할 수 있었으나 CAPE의 산출 방식엔 개선이 필요했다. 또한, GK-2A의 정확도는 KI가 SSI에 비해 높았으며, SSI의 경우 고층기상관측 자료와 GK-2A 자료에서 예보 정확도가 최대가 되는 임계값이 달랐다. 본 연구는 GK-2A 불안정지수의 정확도를 검증하고 불안정지수의 개선사항을 확인함으로써, GK-2A의 불안정지수 활용성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21
WRF 모델링을 활용한
쌍태풍 경로 역행 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anomalous track of
binary typhoon using WRF modeling
U-RECA 4th | 홍채은, 김민영, 김이솔, 김진영, 안지은, 염다빈
태풍은 피해가 큰 자연재해에 속하는 만큼 경로 예측을 위한 연구를 다양하게 진행해왔다. 하지만 태풍의 역행에 관련한 연구는 그 사례가 적고 분명하지 않기 때문에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를 진행하며 확인한 2개의 태풍은 경로에 역행이 일어났으며 모두 다른 태풍과 동반되었던 쌍태풍이라는 특징이 있다. 본 연구는 그 두 가지 역행 사례와 쌍태풍이지만 역행이 일어나지 않았던 사례를 분석하여 쌍태풍과 역행의 관계성을 파악하였다. 태풍 주변 종관장과 지향류를 바탕으로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Systematic Approach 방식으로 구체적인 패턴을 파악하였다. 그 특징들을 비교해보았을 때 가장 뚜렷한 것은 역행이 일어났을 때의 두 태풍간의 세력 차이가 역행이 일어나지 않았을 때보다 유의미했다는 것이다. 즉 쌍태풍의 세력 차이가 태풍의 역행을 발생시키는 원인 중 하나일 것이라고 파악된다. 본 연구는 태풍의 특이 경로를 분석하여 쌍태풍과 역행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태풍의 경로 예측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2020
2020년 장마의 사례분석을 통한 장마의 장기화 원인분석
Analyzing the cause of
the long-term rain seasons
: case study of rain season of 2020.
U-RECA 3rd | 김이솔, 김진영, 변지원
2020년 장마는 지난 10년간 전국 평균 강수량 및 강수일수 1위로 역대 최장 장마를 기록했다. 이러한 기록에는 지구 온난화의 영향이 크다는 언론, 전문가의 언급을 참고하여 근거가 되는 현상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자 연구를 시작했다.
2020년 장마 기간(2020.06.24.~2020.08.16)중 한반도 인근에 생성되었던 전선 11개 중 4개를 선정하여, 북태평양 고기압, 대륙성 고기압, 블로킹 현상을 중심으로 나눠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도양 근처의 SST 상승으로 북태평양 고기압의 확장이 늦어진 것, 폴라보텍스의 약화로 대륙성 고기압이 강화되면서 전선의 정체기가 더 길 어진 것이 장마의 장기화로 이어졌음을 확인했다. 또한 블로킹 현상이 대륙성 고기압과 같이 장마 전선의 정체에 더욱 힘을 싣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본 사례분석을 통해 기상 이변 현상 예 보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한반도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대기의 흐름을 표본으로 한 예보기술의 필요성과, 기상 이변 현상과 인간 생활의 밀접한 관계를 고려한 융합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2019
곡선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한
서태평양 발생 태풍의
분류 및 특성 분석
: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Analysis of Typhoon using
Curve Clustering Scheme
U-RECA 2nd | 김해찬 문주원 정해수 박시은 윤예솜 성예은 홍채은
2018
국내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가 매우 큰 가운데, 본 연구를 통해 지난 집중호우 사례를 분석 및 개념화하여 재난 대응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분석 사례 대상으로는 최근 30년 중 1일, 1시간 최다 강수량과 가장 많은 이재민 수를 기록한 우면산 집중호우를 선정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호우 당시의 일기도, 위성영상(수증기 영상, 해수면온도, 해상풍 벡터, 운정고도 및 운정온도, 적외영상) 그리고 대기선도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의 호우 개념모델에 특정 사례를 추가함으로써 호우 시스템 및 기상학적인 특징을 개념화하고 향후 집중호우 대응책 설립과 기상재해 예측성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U-RECA 1st | 임재랑, 박한올
2011년 우면산 사례 분석을 통한
국내 집중호우의 개념화
Conceptualization of Localized Heavy Rain in Korea through Analysis of Case
: Umyon Mountain in 2011